[ 상세설명 ]
제약/바이오 산업은 인류의 생명연장과 건강유지에 필수적인 산업으로 세계적인고령화에 따른 웰빙(well-being), 웰에이징(well-aging)에 대한 수요 증가와 만성질환 및 신종질병 증가 등으로 의약품에 대한 수요가 커지며 헬스케어 산업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.
코로나 이후에는 백신과 치료제 등 차세대 주력사업으로 꼽히며 선진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에서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제약/바이오 산업은 불가피한 선택이며, 이에 이 분야의 일자리는 꾸준히 증가할 전망입니다.
[ 상세설명 ]
모바일, 클라우드, 인공지능(AI), 로봇 등 지난 10년간 디지털기술의 놀라운 혁신으로 자동화, 지능화가 가속화되면서 기존 방식과 다른 새로운 접근의 방식이 요구되고 있습니다.
디지털금융의 새로운 비즈모델의 혁신, 자동차 산업과 유통업의 변신 등 각 산업분야에서 디지털 신기술을 빠르게 적용시켜 혁신적인 고객가치를 제공하고 효율적인 프로세스를 적용하며 새로운 마켓과 고객 니즈를 창출하는 것이 필수가 되었으며 이에 관련 산업의 전문가에 대한 수요가 지속 증가할 전망입니다.
건설/자동차 부문
건설 / 자동차 / 철강 / 기계 / 장비 등
[ 담당 컨설턴트 ] 고성관 상무, 이봉진 이사, 허선웅 이사, 정혜진 부장
[ 상세설명 ]
전통적인 제조, 건설 분야에서 전기자동차 및 친환경차 개발, 친환경빌딩 등의 기술 개발을 신 성장동력으로 삼고 미래 성장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.
국내 뿐 아니라 글로벌 주요 기업들이 건설과 자동차 부문을 신사업의 원동력이 되도록 해당 역량을 강화하고, 관련 사업의 전문 인력을 적극 육성하는 등 전 세계적으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분야입니다.
반도체/화학 부문
반도체 / 석유 / 화학 / 식품 등
[ 담당 컨설턴트 ] 소재동 상무, 김은경 상무, 송하규 이사, 이제혁 이사
[ 상세설명 ]
반도체 분야는 신소개 연구개발(R&D)를 강화하여 세계 1위인 메모리반도체 시장에서 초격자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고 향후에도 글로벌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국내 주요기업이 집중하고 있는 상황입니다.
또한 친환경 시대에 맞춰 사업 구조를 개편하고 있는 상황이며, 푸드테크 뿐 아니라 식품 업체의 시장 진입이 가속화되고 농업부문 탄소배출 제로를 위해 미래 식량 산업에 대한 투자 확대가 예상되는 등
미래 산업 분야인 에너지, 탄소중립 등에 신규 글로벌 시장 진출이 기대되는 분야입니다.